728x90
반응형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시작---> <---에드센스 소유권 인증 코드 끝--->
"신약성경에 포함된 단 한 권의 묵시록으로 신약성경의 맨 마지막에 실려 있는 책이다."신약성경이 그리스도의 초림과 관련된 네 복음서로 시작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요한계시록은 그리스도의 재림이라는 주제로 신약성경을 마감하고 있다.요한계시록은 또한 신구약을 통하여 흐르고 있는 계시의 많은 흐름들의 절정을 이룰 뿐 아니라 또한 아직 성취되어야 할 많은 예언들의 계시에 대한 결론을 제공해 준다.그리스도의 재림과 그에 앞서 이루어질 몇 년 간의 일들이 요한계시록에서는 성경의 어떤 다른 책보다 더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다.다니엘서는 다니엘의 시대부터 그리스도의 초림까지의 기간에 대해 자세하게 묘사해 주고 있으며 또한 환난과 그리스도의 지상 통치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단 7:2-28). 그러나 요한계시록은..
"한 장으로 이루어진 서신서로, 교회 내의 거짓 교사들을 명백히 분별하도록 돕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자지신약에는 몇 명의 유다가 등장하기 때문에 이 유다가 누구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의견이 있으나 예수님의 아우 유다를 유다서의 저자로 본다(유 2를 참고하라).그는 예수님의 형제 중에 가장 막내였던 것 같다(마 13:55). 다른 형제와 마찬가지로 부활 이전에는 신앙이 없다가 부활 이후에 오순절 교회의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행 1:14). 유다서의 특징유다는 편지를 읽는 성도들을 격려하면서도 거짓 교사들을 대항하도록 경고하고 있다. 거짓 교사들의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그들은 은혜를 색욕거리고 바꾸고, 예수 그리스도를 부인하며(4절), 권위를 거부할 뿐 아니라(8절) 탐심으로 행하..
"요한복음서를 기록한 사도 요한이 쓴 세 편의 편지이다."요한이 보낸 세 편의 서신은 공동서신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사상적으로는 오히려 요한복음, 요한계시록과 함께 요한 문서라는 한 동아리를 형성하고 있다. 저자본 서신서의 문체도 요한일서, 이서와 동일한 점과 자신을 장로라고 부르는 것으로 볼 때(요삼 1) 저자는 그리스도의 생애를 목격한 사도 요한임에 틀림없다. 수신자요한의 절친한 친구 가이오(요삼 1). 책의 배경여러 교회를 다니면서 진리를 가르친 요한은 이제 나이가 들어 기력이 약해지자 동역자를 구했다. 요한의 친구 가이오는 요한 일행을 자기 집에서 영접하고 머물게 한 뒤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준 친절한 사람이었다(요삼 5).가이오는 아마 현재 터키 어느 곳엔가 위치해 있던 한 교회에 소속되어 있..
"요한복음서를 기록한 사도 요한이 쓴 세 편의 편지이다."요한이 보낸 세 편의 서신은 공동서신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사상적으로는 오히려 요한복음, 요한계시록과 함께 요한 문서라는 한 동아리를 형성하고 있다. 저자전통적으로 요한이서의 저자는 사도 요한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책에서 자신을 장로로 밝히고 있다(요이 1). 이 호칭은 한 교회의 직책이 아니라 독자들이 저자를 부를 때 사용했던 존칭이었을 것이다. 요한일서와 요한이서의 문체가 거의 비슷한 점을 감안할 때 요한이서의 저자도 사도 요한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수신자택하심을 입은 부녀, 한 사람일 수도 있고, 한 교회일 수도 있다(요이 1). 책의 배경예수님이 승천하신 후 시간이 흐르면서 직접 예수님의 말씀을 들었던 사람들이 대부분 죽고 남아 ..
배경요한 1,2,3서의 기자는 요한복음의 기자와 같은 사람이다. 요한이 노인이 된 후 90-91년경 에베소에서 기록하였다. 이 서신서의 특징은 구약의 인용문이 한 곳도 없다는 것이다. 주제표초점하나님과의 교제구분 하나님은 빛이시라하나님은 의로우시다하나님은 사랑이시라 본문요일 1장요일 2-3장요일 4-5장 주제빛(6회)사랑(45회)생명(15회)장소에베소시간 A.D 85-95년경 내용과 주요 사상1. 요한 1,2,3서의 기자는 요한복음의 기자와 같은 사람이다.2. 요한이 노인이 된 후 90-91년경 에베소에서 기록 하였다.3. 이 서신에는 구약의 인용문이 한 곳도 없다.4. 이 때는 교회와 회당이 완전히 분리 되었고 믿음과 행위의 논쟁도 끝난 때이다. 그러나 이때 거짓 교훈들이 들어 왔는데 그것은 예..
저자본 서의 저자는 예수님의 제자 베드로이다. 그러나 베드로가 베드로후서의 저자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어 왔다. 용어가 베드로전서와 상이(相異)하며, 어부였던 베드로가 썼다고 보기엔 너무 순수한 헬라어로 기록되었고, 외증이 없다는 것이다. 또 유다서와 비슷한 내용이 많아서 유다서의 모방작이거나 베드로의 이름만 빌린 위작(falsata)으로 보인다는 것이다.그러나 본서의 저자를 베드로라고 주장하는 견해가 더 강하다. 베드로후서에 따르면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과 사도인 시몬 베드로이다(벧후 1:1). 그는 자신이 변화되신 예수님을 목격한 사람이었고(벧후 1:16-18), 바울을 ‘사랑하는 형제’라고 부름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바울과 동일한 수준에 두었다(벧후 3:15-16). 또한 그는 자신의 죽음이 임박했..